서브배경
서브이미지

진료시간안내

  • 평일 09:00 ~ 18:30
  • 토요일 09:00 ~ 13:00
  • 공휴일 휴진
  • 일요일 휴진
  • 점심시간 13:00 ~ 14:00

051-702-7017


건강칼럼

홈으로_ 공지사항_ 건강칼럼

제목

손목 통증, '척골 충돌 증후군'일 수도... 진단과 치료법은?

image

손목 통증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는 분들이 많습니다. 대부분은 "혹시 손목터널 증후군인가요?"라고 먼저 묻곤 하시죠. 하지만 손목 통증의 원인은 생각보다 다양하며, 증상과 부위에 따라 전혀 다른 질환일 수 있습니다. 오늘은 흔히 혼동하기 쉬운 손목터널 증후군과 척골 충돌 증후군의 차이점을 명확히 짚어보고, 올바른 치료와 예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손목터널 증후군은 신경이 눌릴 때 나타나는 통증
손목터널 증후군은 손목을 지나는 좁은 통로인 손목터널(수근관) 내부의 정중신경이 압박을 받아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반복적인 손목 사용, 임신, 관절염 등으로 인해 터널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신경을 누르게 됩니다.

주요 증상으로 엄지, 검지, 중지, 그리고 약지의 절반 부위에 저릿함, 무감각, 따끔거리는 통증이 나타납니다. 특히 밤에 증상이 심해져 잠에서 깨는 경우가 많으며, 물건을 잡다가 떨어뜨리는 등 손의 힘이 약해지는 느낌을 받기도 합니다. 통증은 팔꿈치나 어깨까지 뻗어나갈 수 있습니다.

척골 충돌 증후군은 뼈와 연골의 충돌
척골 충돌 증후군은 손목을 이루는 두 개의 뼈, 즉 손목 바깥쪽의 척골(자뼈)이 안쪽의 요골(노뼈)보다 상대적으로 길어서 손목을 회전하거나 힘을 줄 때 척골과 손목뼈, 그리고 그 사이의 삼각섬유연골복합체(tfcc)가 지속적으로 부딪히면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 손목의 새끼손가락 쪽(척측)에 만성적인 통증이 느껴집니다. 손목을 비틀거나 문 손잡이를 돌릴 때,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릴 때 뚝뚝 꺼리는 소리가 나거나 통증이 더욱 심해집니다. 손가락 저림 증상은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이 손목터널 증후군과의 큰 차이점입니다.

정확한 진단이 중요한 이유
손목터널 증후군과 척골 충돌 증후군은 통증 부위와 양상이 전혀 다르므로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입니다. 손목터널 증후군은 신경전도검사를 통해 신경 손상 정도를 파악하고, 척골 충돌 증후군은 x-ray나 mri를 통해 뼈 길이 차이와 연골 손상 여부를 확인합니다.

진단에 따라 치료법이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에, 막연히 '손목이 아프다'는 증상만으로 자가 진단하거나 방치하는 것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치료와 예방법은?
다행히 두 질환 모두 초기에 발견하면 수술 없이 충분히 호전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치료법들입니다.

1. 비수술적 치료
• 휴식과 부목: 증상이 나타나는 부위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밤에는 보조기나 부목을 착용하여 손목을 안정시키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약물 및 주사 치료: 소염진통제 복용과 함께 염증 부위에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를 주입하여 통증을 완화시킵니다.
• 물리치료 및 운동치료: 전문적인 재활 프로그램을 통해 손목 관절의 가동 범위를 회복하고 근력을 강화합니다.

2. 수술적 치료
비수술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신경 손상이 심한 경우, 간단한 수술을 통해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손목터널 증후군은 신경을 압박하는 인대를 절개하는 수술을, 척골 충돌 증후군은 척골의 길이를 조절하는 수술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3. 생활 속 예방
• 자세 교정: 컴퓨터 작업 시 손목이 꺾이지 않도록 손목 받침대나 마우스를 사용하고, 키보드 높이를 적절히 조절합니다.
• 규칙적인 휴식: 틈틈이 손목을 돌려주거나 손가락 스트레칭을 해주어 긴장을 풀어줍니다.
• 적절한 운동: 손목과 손가락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을 통해 손목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줍니다.

손목 통증은 단순한 피로만이 원인이 아닙니다. 방치하면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하고 치료를 더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통증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올바른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건강한 손목을 되찾는 첫걸음입니다. 통증이 느껴진다면 미루지 마시고 정형외과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는 건강한 손목을 되찾는 가장 빠르고 확실한 길입니다.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다음사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