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시간안내
- 평일 09:00 ~ 18:30
- 토요일 09:00 ~ 13:00
- 공휴일 휴진
- 일요일 휴진
- 점심시간 13:00 ~ 14:00
051-702-7017
홈으로_ 공지사항_ 건강칼럼
심한 생리통, 혹시 자궁내막증일까? 증상과 치료법
여성이라면 한 번쯤 생리통이나 골반 통증을 경험해 보셨을 겁니다. 개인 컨디션에 따라 일시적으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지만, 생리 기간이 아닌데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부인과 질환, 특히 자궁내막증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산부인과 진료와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자궁내막증이란?
자궁내막증은 자궁 안에 있어야 할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바깥에 존재하면서 염증이나 유착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주로 난소, 나팔관, 골반 복막 등에 발생하며 심한 경우에는 장, 방광 등 다른 장기로 퍼지기도 합니다. 자궁내막증의 주요 증상은 심한 생리통, 배란통 및 골반통, 성교통, 불임, 난임 등이 있습니다.
심부자궁내막증이란?
심부자궁내막증은 일반적인 자궁내막증 보다 더 깊고 광범위하게 조직에 침윤된 형태를 말합니다. 근육층 깊숙이 심지어는 장기 내부까지 침투하여 더 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주로 골반 복막, 방광, 요관, 골반신경, 질 상부, 직장 근육층등 깊은 곳까지 침투하는 케이스도 있습니다.
현재까지 자궁내막증의 원인은 뚜렷하게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월경혈 역류로 복강 내로 들어온 자궁내막세포들이 자궁내막증을 일으킨다는 'sampson's(샘프슨) 가설이 가장 설득력이 있으나, 자궁내막 병변 위치와 정도에 따라서 환자의 개개인의 증상 및 원인의 인과관계는 다양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20대 이후에 갑자기 생리통이 심해지셨거나 성교통 및 만성 골반 통증이 나타날 때는 자궁내막증을 의심해 보시고 산부인과에 방문해 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자궁내막증의 치료는?
치료는 환자의 나이, 증상, 임신 계획 등을 종합해 결정합니다. 난소에 발생한 자궁내막증은 '자궁내막종(난소자궁내막증)'이라 하며, 난임·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적극적인 치료가 권장됩니다. 수술적 치료로는 복강경이나 로봇수술을 고려할 수 있고, 비수술 치료로는 '경화술'이 우선 검토될 수 있습니다.
● 수술적 치료
① 복강경 수술: 하복부에 작은 절개를 내어 수술 기구와 카메라를 삽입하는 미세침습수술입니다. 개복수술에 비해 절개와 출혈이 적어 입원 및 회복 기간이 짧지만, 접근이 어려운 위치의 병변에는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② 로봇수술: 개복과 복강경의 장점을 발전시킨 미세침습수술로, 복강경 포트(투관침)에 로봇팔 등 수술 시스템을 연결해 집도의가 원격으로 조종합니다. 3d 입체 확대 시야와 영상 센싱 기능으로 병변을 더 정확히 관찰할 수 있고, 540도 손목 회전이 가능한 로봇팔을 이용해 복강경으로 접근이 어려운 부위까지도 수술이 가능합니다. 병변 제거 후 봉합·박리·지혈 등 다양한 기능을 통해 수술 시간을 단축하고 안정성을 높입니다.
● 비수술적 치료
비수술 경화술은 질초음파에 장착한 특수 가이드 바늘로 병변에 접근해 내막종의 내용물을 흡인한 뒤, 경화제를 주입해 내막종 내벽에 염증 반응과 섬유화를 유도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내용물의 재형성을 억제합니다. 수술요법보다 시술 시간이 약 20~30분으로 짧고, 집도의 판단하에 시술 및 회복 후 결과 확인과 함께 당일 귀가도 가능합니다.
치료 선택 시 유의할 점은?
모든 상황에서 한 가지 치료법만이 정답은 아닙니다. 정확한 검사 후 산부인과 전문의와 긴밀히 논의해 병변의 위치·크기와 개인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맞춤 치료 계획을 세우시길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