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배경
서브이미지

진료시간안내

  • 평일 09:00 ~ 18:30
  • 토요일 09:00 ~ 13:00
  • 공휴일 휴진
  • 일요일 휴진
  • 점심시간 13:00 ~ 14:00

051-702-7017


건강칼럼

홈으로_ 공지사항_ 건강칼럼

제목

‘무혈성 괴사’가 뭐길래…관절염·수면장애·ADHD 위험까지

엉덩이 관절, 즉 고관절이란 골반과 대퇴골(넓적다리뼈)을 잇는 관절로 상체와 하체를 연결하며 체중을 지탱한다. 걸을 때나 앉을 때 등 일상 속 자주 사용되는 핵심 관절로,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운동 범위도 넓다. 이런 특성 때문에 고관절에 조금만 손상이 생겨도 상태가 급격히 안 좋아지거나 만성 질환으로 변할 수 있다. 특히 뼈조직이 죽는 질환인 ‘무혈성 괴사’의 경우 수면장애, adhd 등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고관절에 무혈성 괴사가 발생할 수 있다 | 출처: 클립아트코리아

고관절에 나타나는 괴사…여성보다 남성이 4배 위험

무혈성 괴사란 뼈에 원활한 혈액 공급이 안돼 뼈가 괴사하는 질환으로, 특정 부위에 피가 돌지 않으며 뼈가 죽어버리는 것이다. ‘괴사’라는 명칭 때문에 뼈가 썩는 병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뼈가 썩거나 다른 부위로 전이되지는 않는다. 무혈성 괴사는 국소 부위에만 나타나는 질환으로 ‘무혈관성 골괴저’라고도 부른다. 혈관과 뼈가 있는 신체 어느 부위에나 무혈성 괴사가 발생할 수 있는데, 특히 고관절에 가장 잘 일어난다. 고관절에 무혈성 괴사가 나타나는 것을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라고 부른다. 여기서 대퇴골두란 대퇴골과 골반이 맞닿아 있는 대퇴골의 위쪽 끝부분을 의미한다. 대한정형외과학회의 박성필 원장에 따르면 국내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의 연평균 환자 수는 약 1만 4,000명으로 추정된다. 여성보다 남성에서 4배가량 높은 발병률을 보이며, 30~50대 사이에서 발병 빈도가 가장 높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가 발생한 초기에는 약간의 뻐근함과 통증 같은 증상만 나타나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이후 괴사가 진행되면서 증상이 심화된다. 괴사된 뼈에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면 괴사 부위에 골절이나 함몰이 발생하면서 고관절이 손상될 수 있는데, 이때는 제대로 땅을 딛는 것조차 힘든 통증이 발생한다. 대퇴골두의 변형이 심한 경우에는 고관절의 운동 범위가 좁아져 양반다리를 하는 것조차 힘들고, 괴사한 다리의 길이가 짧아져서 다리를 절뚝거리게 된다.



혈액 공급 방해가 무혈성 괴사의 주요 원인!

무혈성 괴사의 원인이 명확히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① 부신피질호르몬제(스테로이드) 등의 약물을 장기 복용해 혈관에 지방 물질이 쌓이면서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② 지나친 음주로 생긴 지방 물질이 동맥경화를 일으켜 혈액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③ 혈액순환을 방해하는 질환이나 탈구, 골절, 관절 손상 등 뼈나 뼈 안의 혈관에 손상이 생긴 경우④ 맞닿아 있는 두 뼈 중 한 뼈가 비정상적으로 짧아 길이 차이가 큰 경우이들 원인 중 전문가들은 부신피질호르몬제와 음주가 발생 원인의 90%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수면장애·adhd·관절염 위험까지…빠른 진단과 치료 필요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를 지닌 사람은 각종 질환에도 더 쉽게 노출된다. 괴사가 심각해져 괴사 부위가 골절되면 골두가 함몰되면서 퇴행성 관절염을 일으킨다. 이로 인해 보행에 어려움을 겪거나 반복되는 통증으로 수면장애까지 발전할 수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adhd 발생 확률은 병이 없는 사람에 비해 1.5배 높으며, 뇌졸중이나 심근경색 등 심혈관 질환의 위험은 7.7배나 더 높다. 따라서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가 의심될 경우, 지체하지 말고 병원을 찾아 적절한 진단·치료를 받길 권한다. 무혈성 괴사 초기에는 방사선사진(x-ray)으로 확진하기 어려워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로 진단해야 한다. 무혈성 괴사가 진단되면 대부분은 △인공관절 수술 △중심감압술 △절골술 △연골제거술 △골연골이식 △관절치환술과 같은 수술 치료를 필요로 한다. 다만 괴사 부위의 상태에 따라 수술이 필수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하이닥 소아청소년과 상담의사 김경남 원장(수원가톨릭대학교성빈센트병원)은 “괴사 범위가 작거나, 위치가 좋거나, 통증의 정도가 심하지 않아 일상생활에 크게 지장이 없으면 경과를 관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경우에는 약물치료나 깁스, 부목, 특수 제작된 깔창 등 도구를 이용한 보존적 치료로 증상의 회복을 기대해볼 수 있다.



도움말 = 하이닥 상담의사 김경남(수원카톨릭대학교성빈센트병원 소아청소년과 진료전문의)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다음사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