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배경
서브이미지

진료시간안내

  • 평일 09:00 ~ 18:30
  • 토요일 09:00 ~ 13:00
  • 공휴일 휴진
  • 일요일 휴진
  • 점심시간 13:00 ~ 14:00

051-702-7017


건강칼럼

홈으로_ 공지사항_ 건강칼럼

제목

어깨통증, 정확한 진단으로 치료해야... 방치하면 치료 시기 놓쳐 [인터뷰]

image

어깨 통증은 누구나 흔하게 자주 겪는 증상이다 보니 팔을 올리기 힘들거나 통증이 있어도 단순 근육통이나 오십견이라 생각하고 넘기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실제로는 익상견, 회전근개 파열, 충돌증후군 등 다양한 질환이 원인일 수 있으며, 질환에 따라 치료와 관리법도 달라진다.

정형외과 전문의 천용민 교수(연세천용민정형외과)는 "정확한 진단 없이 증상을 스스로 판단하고 방치하면 치료 시기를 놓칠 수 있고, 무리한 사용은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어깨 통증과 질환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과 사례들을 모아 천 교수와 함께 풀어봤다.

q. 어깨가 쑤시고 팔이 잘 안 올라갈 때, 주로 어떤 질환으로 진단되나요?
많은 분들이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오십견', 즉 동결견 환자가 가장 많습니다. 그다음으로는 회전근개 파열이 흔하고, 석회성 건염이나 충돌증후군 같은 질환을 많이 보게 됩니다.

q. 오십견은 50대에만 생기는 질환인가요?
아닙니다. 오십견(동결견)은 30대부터 8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50대에서 가장 흔하게 발병하기 때문에 흔히 '오십견'으로 불립니다.

q. 그렇다면 오십견도 치료를 받아야 하나요?
오십견은 당뇨 같은 내분비 질환이 없는 경우 약 2년 정도 지나면 자연 회복되는 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자가진단법들이 다뤄지면서 다른 질환들까지 오십견이라 판단하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회전근개 파열이나 다른 병이 동반된 경우에도 스스로 오십견이라 진단하고 방치했다가 치료 시기를 놓치는 사례들이 있는데요. 어깨 통증 관련 질환들은 환자가 증상만으로 자체 진단하기 어렵기 때문에,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정형외과 전문의에게 감별 진단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q. 어깨 통증은 목 때문인 경우도 있다던데, 어떻게 구별할 수 있나요? 어깨 통증과 함께 팔이 저리거나 손끝이 시린 경우는 목 디스크와 관련이 있을까요?
목과 어깨에서 시작되는 통증은 겹치는 부분이 많습니다. 어깨 관절(견관절) 통증이 목에서 오는지 어깨에서 오는지 구분하는 방법은 삼각근 부위를 눌러보는 것인데요. 눌렀을 때 통증이 있는 경우 대부분 어깨에서 기인한 통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 어깨 통증과 함께 팔 저림, 특히 팔의 위에서부터 아래로 내려오는 저림 증상이 있다면 목 디스크나 목에서 오는 통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q. 어깨에서 뚝뚝 소리가 날 때가 있는데, 불편하지는 않습니다. 그냥 둬도 괜찮을까요?
소리 때문에 병원을 찾는 분들이 많지만, 소리 자체만으로는 임상적 의미가 크지 않습니다. 다만 소리와 함께 통증이 동반된다면, 반드시 원인을 찾아야 합니다.

q. 헬스를 하고 있는데, 요즘 팔을 위로 올릴 때 살짝 찌릿한 통증이 있습니다. 이럴 때는 운동을 중단해야 할까요?
특정 운동을 하는 동안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가 아니라면 해당 운동은 통증 발생에 주의하면서 계속하셔도 됩니다. 다만 통증 범위를 넘어서면서까지 무리해서 운동하는 것은 좋지 않고, 증상이 계속될 때는 정형외과 전문의에게 정확한 원인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q. 한쪽 어깨가 아플 때, 아픈 쪽은 잘 쓰지 않고 운동도 피하면 괜찮아질까요?
통증이 생겼다면 원인을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정형외과에서 큰 이상이 없다고 진단받으면 대부분 약물 등의 보존적 치료만으로도 호전됩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운동도 통증 부위가 아플 때까지 너무 심하게 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특별히 종목을 가리지 않고 계속해도 됩니다.

q. 이런 어깨 통증으로 병원에 가면 진단은 어떻게 이뤄지나요?
어깨를 전공한 정형외과 전문의는 먼저 관절이 굳었는지, 즉 관절운동 범위에 제한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여기서 문제가 없다면 근력 테스트를 통해 환자의 연령대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문제들 몇 가지를 하나씩 감별해나갑니다.

q. 제 사례를 예로 들면, 왼쪽 어깨가 아파서 왼쪽으로 누워서 자기 어렵고, 어깨 운동을 하면 다음날 하루 이틀 정도 찌릿하고 시큰거립니다. 어떤 문제가 있을 수 있나요?
몇 가지 질환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익상견인데, 견갑골이 튀어나오는 병으로 특정 신경이 일을 잘 안 해서 생기는 증상입니다. 오십견처럼 팔이 잘 안 올라갈 수 있는데, 자가 진단보다는 어깨를 전공한 정형외과 전문의에게 감별 진단을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둘째, 운동 제한이 없는 상태에서 팔을 어깨 위로 들어 올릴 때 통증이 생기는 충돌증후군입니다. 그리고 드물지만 30대에도 회전근개 파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마도 오십견보다는 건염일 가능성이 높으며, 스테로이드 주사와 운동으로 좋아질 수 있습니다. 특히 정형외과 치료 중 흡연은 회복을 방해하므로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q. 평소 옆으로 누워 자는 습관이 있는데, 안 좋을까요?
비슷한 질문을 정말 많이 받는데 지금까지 연구나 논문으로 명확히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후배 교수가 ct 촬영으로 비슷한 실험을 해본 결과, 한쪽으로 누워 자는 상태에서 어깨가 눌리는 현상이 있다는 것은 확인했지만, 이것이 회전근개 파열까지 일으킨다는 연구나 근거는 아직 없습니다.

q. 추가로 실제 어깨 통증이 있는 분들의 사연을 받아봤는데요. "연골은 한 번 닳으면 재생이 안 되나요?"라고 물으셨어요. 연골도 재생이 되기는 하나요?
연골도 머리카락이나 피부처럼 계속 회복과 재생 과정이 일어납니다. 다만 '재생'을 큰 상처가 난 후 전과 똑같은 상태로 다시 자라나는 개념으로 본다면, 연골은 재생보다는 '회복'에 가깝습니다. 젊을 때는 회복이 잘 되지만, 나이가 들수록 회복 속도가 떨어져 관절염이 생기기도 하는데요. 새로운 세포가 생기고 없어지는 과정은 있지만 나이가 들수록 그 회복력이 떨어져 회복 속도가 손상 속도를 따라가기 어려운 것이죠. 그래서 초기에는 mri에서만 확인되던 손상이 심해지면 x-ray에서도 보일 수 있는 것입니다.

이처럼 연골은 한 번 다치면 완벽하게 회복되기는 어렵기 때문에 예방과 적절한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운동 전 충분한 준비운동과 스트레칭으로 몸을 풀면서 예열해 주는 단계가 필요하고, 무엇보다 본인 체력과 한계에 맞게 운동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에 러닝하는 분들도 정말 많은데, 운동 전후의 충분한 스트레칭이 필수적입니다. 스트레칭은 초기 관절염 치료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꼭 운동을 하지 않더라도 평소에 스트레칭을 잘 해주는 것이 관절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q. 다음은 "요식업도 해야 하고 운동도 하고 싶은데, 아픈 어깨 회복이 가능할까요?" 라는 질문입니다.
환자를 보지 않은 상태지만 통증의 원인은 전문의를 찾아서 해결해야 합니다. 요식업처럼 한쪽 팔을 많이 쓰는 직업이라면 그쪽 어깨가 먼저 아플 가능성이 높습니다. 어깨 수술을 하다 보면 오른손잡이든 왼손잡이든 환자가 주로 사용하는 쪽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70~80% 정도 됩니다.

또한 운동에 대해 설명드리자면 와인드업, 배드민턴, 테니스처럼 반복적으로 팔을 많이 쓰는 운동이나 자세는 특정 부위에 손상이 생기기 쉽습니다. 단순 웨이트도 반복이 된다면 손상이 축적될 수 있는데, 이런 경우 mri 등의 검사에서도 잘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점들을 주의하신다면 어깨 통증이 있더라도 통증과 상관없는 부위, 아픈 어깨에 통증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까지의 운동은 종목과 상관없이 계속해도 무방합니다.

q. 다른 부위는 '아프다', '손상됐다'고 표현하는데, 왜 허리 디스크는 '터졌다'고 하는지 궁금하다는 문의도 있었습니다.
디스크는 뼈와 뼈 사이에서 쿠션 역할을 하는 구조물로 내핵이 있습니다. 노화나 흡연으로 내핵에서 수분이 빠지면 탄력이 사라지고 약한 부분이 생깁니다. 이 상태에서 충격을 받거나 나쁜 자세가 지속되면 내핵이 밖으로 밀려 나와 신경을 압박하게 되는데요. 노화로 인해 탄력이 떨어져 약한 부분으로 삐져나오는 것을 환자분들이 '터졌다'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q. 어깨 통증을 참고 넘기는 분들에게 해주고 싶은 말씀이 있을까요?
오십견은 누구나 들어봤을 만큼 흔한 질환입니다. 너무 자주 언급되고 다뤄질수록 오히려 가볍게 생각하는 분들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가진단에 의존하지 말고, 내 몸이 보내는 신호를 살펴 정형외과 전문의에게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야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기획 = 박소연 건강전문아나운서



     
이전사진보기
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병원시설
다음사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