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시간안내
- 평일 09:00 ~ 18:30
- 토요일 09:00 ~ 13:00
- 공휴일 휴진
- 일요일 휴진
- 점심시간 13:00 ~ 14:00
051-702-7017
홈으로_ 공지사항_ 건강칼럼
삶의 질 보존 위한 척추관 협착증의 증상별 치료법은?
나이가 들수록 무릎과 허리가 아픈 증상은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 노화로 인해 이러한 신체적 변화는 당연한 부분이고, 불편함은 생길 수 있지만 무작정 참는다고 좋아질 수 있는 건 아닙니다. 특히, 고령자 중에서 걷다가 쉬기를 반복하거나 절뚝이면서 걷는 '간헐적 파행'은 척추관협착증의 대표적 증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 척추관협착증
척추관협착증은 신경다발이 지나는 척추 중앙부 '척추관' 혹은 신경다발이 양쪽으로 2개씩 갈라지는 '추간공'이 좁아져 신경을 압박해 생기게 됩니다. 퇴행성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주된 질환이라 할 수 있으며 발생하는 분절에 따라서 허리 통증도 발생하지만 엉덩이나 허벅지, 다리로 이어지는 저림과 불편함이 함께 발생하기도 합니다.
비수술 보존 치료 우선, 일상에 지장 있는 경우 수술 고려
허리와 엉덩이, 다리가 너무 불편해 병원을 방문했다가 척추관협착증 진단을 받게 될 수 있는데, 이 질환 진단을 받았다고 해서 무조건 수술이 필요한 건 아닙니다. 척추관협착증 증상이 심하지 않고 일상생활에 큰 불편함이 없다면 굳이 치료를 서두를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허리 통증, 다리 저림, 특히 걷다가 자주 쉬어야 하는 보행 장애 등으로 일상생활의 질이 현저히 떨어진다면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단, 처음부터 수술을 먼저 고려하기보다는 비수술 보존 치료를 충분히 시행해 본 다음에 그래도 좋아지지 않을 때 수술을 고려하게 됩니다.
약물, 주사, 수술치료, 증상 단계에 따라 적절히 선택 필요
척추관협착증의 치료 방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약물 복용, 주사 치료, 그리고 수술입니다.
약물 처방과 주사치료는 비수술 보존치료로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하는 약물과 신경 주위의 혈류를 개선하는 약물 등 여러 성분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증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주사치료는 좁아진 신경 주위에 약물을 직접 주입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는 방법입니다. 신경 주사에 포함된 스테로이드 성분에 대한 오해가 있지만, 적정량의 사용은 안전하며, 개인의 현재 상태에 따라 스테로이드 주사가 아닌 주사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요즘은 수술에 버금가는 다양한 시술들이 잘 나와 있기 때문에 수술 이전까지는 비수술 방식의 치료를 충분히 다 받아보심이 필요합니다.
수술로는 신경을 압박하는 구조물 제거와 신경이 지나가는 길을 넓혀주는 감압술 등이 존재합니다. 과거에는 수술 시 피부절개를 크게 하는 바람에 통증도 크고 회복에도 오랜 시간이 걸렸지만 요즘은 현미경 혹은 내시경을 활용한 최소 침습 수술이 나와있어 수술 회복도 신속하고 통증도 적은 특징이 있습니다.
완치 없는 척추관협착증, 조기 치료로 증상 완화가 중요
척추관협착증은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이므로 완치될 순 없고, 환자가 현재 느끼는 극심한 통증과 염증을 줄이는데 포인트를 두고 진행하게 됩니다. 약물이나 주사 치료와 같은 비수술 보존치료로 증상이 좋아지더라도 좁아진 척추관 자체가 넓어지는 것은 아닌 데다가 노화는 계속 진행되므로 누구든 막을 수 없기에 완치라는 표현의 치료를 사용하진 못합니다. 하지만 초기에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하고 체중조절 및 꾸준한 운동이 병행된다면 병이 심화되지 않고 보다 건강하게 생활을 할 수 있게 됩니다.
특히, 운동은 허리와 다리 근력을 강화하고, 불안정한 척추 관절을 안정화시켜 증상을 덜 느끼게 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척추관협착증은 고령층의 대다수가 가지고 있다 할 만큼 발병률이 높은 질환입니다. 증상만으로는 디스크와 구별을 하기가 어렵고, 환자마다 디스크를 함께 가지고 있는 경우도 많아 정확한 파악이 어려우니 불편한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 등의 불편함이 지속될 경우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아보는 게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