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시간안내
- 평일 09:00 ~ 18:30
- 토요일 09:00 ~ 13:00
- 공휴일 휴진
- 일요일 휴진
- 점심시간 13:00 ~ 14:00


051-702-7017
홈으로_ 공지사항_ 건강칼럼
움직일 때마다 아픈 건초염...보호대, 테이핑하면 좋을까
건초염은 힘줄이 있는 부위라면 신체 어느 곳에서나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어깨나 손가락, 손목에 많이 발생한다. 최근에는 컴퓨터와 스마트폰 사용이 급증하면서 손목 건초염을 앓는 환자가 많다.근육의 과다 사용이 아닌, 염증을 유발하는 특별한 원인으로 인해 건초염이 발생할 수도 있다. 류마티스와 같은 자가면역질환이 있으면, 건초에 자가면역세포들이 침투해 염증을 자발적으로 발생시킨다. 류마티스 질환에 의한 통풍성, 석회성, 감염성 건초염의 경우 이를 방치하면 힘줄이 파열되기까지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건초염으로 진료받은 사람은 160만 3,013명이다. 2016년 151만 5,520명에서 8만 7,000여 명이 증가한 수치로, 연평균 증가율은 1.4%다. 2020년 전체 진료 인원 중 가장 많은 연령대는 50대로 전체의 24.7%를 차지했다. 이어 60대가 18.7%, 40대가 17.3% 순이다.50대 건초염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형외과 이준구 교수는 "건초염이 퇴행성 질환은 아니나, 오랜 기간 과하게 사용하는 것과 연관이 있기에 젊은 연령보다 장기간 직업력이 있는 연령대에서 빈번히 발생한다"고 말했다. 이어 "여성의 경우 50대 전후로 폐경에 따른 전체적인 호르몬 변화로 인해 건초염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건초염은 초음파 검사로 빠르고 쉽게 진단할 수 있다. 건초염으로 진단받은 후 가장 중요한 것은 염증이 발생한 부위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경증 건초염이라면 소염제와 진통제를 복용하면서 휴식을 취하면 회복에 도움이 된다. 또, 환부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보호대를 착용하거나 스포츠테이프로 관절을 고정해도 좋다. 부기나 열감, 통증이 있으면 얼음팩을 이용해 냉찜질하고, 뜨거운 느낌 없이 아프기만 하면 온찜질하는 것이 좋다.이렇게 해도 크게 호전되지 않으면, 국소마취제를 섞은 스테로이드제를 환부에 직접 주사한다. 3개월 이상 치료해도 좋아지지 않을 때는 염증이 생긴 건초를 제거하는 수술을 고려한다.